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산 농산물, 마늘쫑, 목이버섯, 양파, 당근 식품 중 주의, 필요한 주요 품목

by 이지인포유 2025. 11. 13.
반응형

 

중국산 식품 중 주의가 필요한 주요 품목 및 문제 사례

 

 

 

1. 채소 및 야채류 (농약 및 중금속 문제)

  • 냉동 채소류 (시금치, 마늘쫑, 양파 등): 수입되는 일부 품목에서 잔류 농약이 국내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는 사례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 잔류 농약: '티아메톡삼'과 같은 살충제 성분이나 곰팡이 방지용 농약인 '카벤다짐' 등이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되어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가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참고: 농약 허용기준 강화제도(PLS) 적용)
    • 중금속 오염: 과거 보도에 따르면, 일부 농산물에서 토양 오염 등으로 인한 과 같은 중금속 성분 함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 버섯류 (송이버섯 등): 일부 품목에서 표백 효과를 위해 잔류 세척제나 표백제가 사용된 사례가 과거에 보도된 바 있습니다.

 

 

2. 절임 식품 및 김치류 (위생 및 첨가물 문제)

  • 배추김치 및 절임배추:
    • 비위생적 환경: '알몸 김치' 파동이나 굴착기의 녹슨 부분, 담배를 문 채 장화 신고 작업하는 모습 등 비위생적인 절임 및 제조 환경이 영상으로 공개되어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 미허용 첨가물/식중독균: 통관 및 유통 과정에서 **식중독균(예: 여시니아)**이 검출되거나, 국내에서 허용되지 않는 **보존료(예: 소브산, 데히드로초산)**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3. 가공 및 기타 식품류 (가짜 식품 및 첨가물 문제)

  • 가짜 식품:
    • 가짜 육류: 잡고기에 약품을 바르거나 색소를 넣어 양고기처럼 보이게 한 '양꼬치' 사례, 오리가슴살을 염색하여 소고기로 판매한 사례 등이 과거 중국 현지 언론을 통해 보도된 바 있습니다.
    • 가짜 만두: 두루마리 휴지 등을 만두 속 재료로 섞어 만든 가짜 만두 사례도 있었습니다.
  • 조미료 및 소스류: 샤브샤브(훠궈)의 매운맛을 고추 가루가 아닌 독성이 강한 화학물질로 낸 사례 등 화학 첨가제를 이용해 맛을 내는 경우가 과거에 문제 되었습니다.
  • 술(백주) 및 소금: 공업용 알코올로 만든 가짜 백주로 인한 실명 및 사망 사고, 공업용 소금이 식용으로 유통된 문제 등도 있었습니다.

 

 

잔류 농약 기준치 초과로 회수된 주요 중국산 품목 

품목 검출된 주요 농약 성분 문제점 및 검출 수준 
마늘쫑 이마잘릴(Imazalil) 곰팡이병 방제용 농약. 기준치 13배 초과 검출 (0.13㎎/㎏, 기준: 0.01㎎/㎏ 이하).
냉동 시금치 파목사돈(Famoxadone) 고추/감자 역병 방제용 농약. 기준치 최대 52배 초과 검출 (0.52㎎/㎏, 기준: 0.01㎎/㎏ 이하).
목이버섯 카벤다짐(Carbendazim) 곰팡이병 방제용 농약. 잔류 허용 기준 45배 초과 검출.
백목이버섯 클로르메쾃(Chlormequat) 식물 성장 조절제. 기준치 12배 초과 검출 (0.12㎎/㎏, 기준: 0.01㎎/㎏ 이하).
양파 (신선/냉동)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해충 방제용 살충제. 과거 기준치 12배 초과 검출 사례 반복됨.
당근 (신선/세척) 카벤다짐(Carbendazim) 살균제. 기준치 초과 검출 사례가 있었습니다.

 

 

 

 

주의사항 요약

중국 정부도 식품 안전성 문제를 인지하고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나, 수입되는 식품 중 일부에서 위와 같은 문제가 여전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1. 원산지 확인: 식당이나 급식소에서 김치, 고춧가루, 마늘, 양파, 콩 등 기본 식재료의 원산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신뢰할 수 있는 경로: 가급적이면 국내의 철저한 검역을 거치고 믿을 수 있는 유통 경로를 통해 판매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세척: 특히 채소류는 깨끗한 물에 충분히 세척하여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산 농산물 구매 시 주요 독성 물질 및 위해 유형별 소비자 대응 요약

 

주요 위해 유형 관련 품목 예시 독성학적/시스템적 위험성 소비자 회피/대응 전략 (전문가 권고)
잔류 농약 (시스템성) 당근, 마늘쫑, 시금치 식물 조직 내부 오염, 일반 세척으로 제거 불가 17 침수 및 흐르는 물 세척 강화, 가급적 국산/유기농 대체 18
위생 불량/미생물 절임류 (김치 원료), 냉동 야채 식중독균, 비위생 공정으로 인한 병원균 노출 9 고온 살균 조리 필수, 가공 단계가 낮은 제품 선호
화학적 첨가물 (표백제) 마늘, 건조 식품 호흡기 및 소화기 점막 자극, 인체 유해 가능성 6 흰색이 과도하게 선명한 제품 경계, 가열 조리 시 확인
원산지 둔갑 고춧가루, 깐마늘, 깐도라지 안전 미검증 원료 사용 및 유통 경로 불투명성 증대 29 외형적 식별법 숙지, 정품 인증 마크 철저히 확인 31
중금속 냉동 수산물, 일부 채소류 장기적 체내 축적 및 신장/신경 독성 유발 24

마늘 등 해독 보조 식품 섭취, 티백차 조리법 준수 33

 

 

 

수입 농산물 중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산물의 약 **90%**가 농약 잔류물질 위반 및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위반 등의 사유로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러분들 꼭!! 원산지에 대해서 주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