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더블유 코리아 (W Korea)
하이 패션 화보, 뷰티 트렌드, 라이프 스타일, 스타 영상까지. 스타일리시하고 트렌디한 콘텐츠 제공
www.wkorea.com
W코리아 공식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wkorea/
W코리아 공식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korea/videos
W KOREA
No.1 Conceptual Trend Magazine, W KOREA
www.youtube.com
참석 연예인들을 대충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hqJZ58zQrg&t=18s
행사 배경: 20주년과 초호화 파티 형식
논란이 된 행사는 'Love Your W 2025'라는 명칭으로
2025년 10월 15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20주년이라는 기념비적인 시기에 진행되었으나, 캠페인이 꾸준히 유방암 환우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메시지 없이 연예인과 기업인의 참석만 부각한다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대중들은 행사의 진정성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며 "연예인 불러 술 먹고 춤추고… 유방암 자선 행사 두고 '시끌'"이라는 반응이 터졌습니다.
발단: 박재범 공연과 선정성 논란
이번 논란의 '촉매 사건'은 가수 박재범의 축하 공연에서 발생했다. 박재범은 다리 부상으로 목발을 짚은 채, 부보수로 캠페인에 참여했으나, 2015년에 발매된 자신의 노래 '몸매(MOMMAE)'를 선곡하여 공연했다. 이 선곡은 유방암 인식 개선 캠페인의 취지와 극도로 상충했다. 해당 곡은 "우리의 관계가 뭔지 모르지만 지금 소개받고 싶어 니 가슴에 달려있는 자매 쌍둥이" 등 여성의 신체를 예찬하는 선정적인 가사 때문에 음원 플랫폼에서도 성인 인증을 거쳐야만 들을 수 있는 곡이었다.
선정적인 가사와 유방암 인식 캠페인의 목적 불일치에 대한 비판이 즉각적으로 제기되었다. 네티즌들은 "가사가 환우들 보기에 좋지 않다", "유방암 인식 개선을 한다면서 왜 연예인들이 나와서 노래를 부르고 웃고 떠드느냐"며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사건은 전술적인 오류(연예인의 선곡 실수)로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주최 측이 행사의 성격과 메시지를 명확히 통제하고 환우 중심의 관점에서 모든 요소를 사전 검토하는 데 실패했다는 시스템적 관리 부재를 입증했다. 성인 인증이 필요한 곡을 공익적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메인 무대에 올린 것은 주최 측의 전략적 오류의 직접적인 결과로 해석된다.
W 코리아의 초기 대응: 침묵과 콘텐츠 삭제
논란이 확산되자 주최 측인 W 코리아는 초기 위기 관리에서 심각한 실책을 범했다. W 코리아는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박재범의 공연 영상을 게시했으나, 비판이 제기된 지 약 20분 만에 영상을 아무런 설명 없이 삭제했다. 이러한 조치는 투명성이 결여된 '증거 인멸' 시도로 해석되었으며, 소셜 미디어 시대에 콘텐츠의 빠른 삭제가 오히려 논란을 숨기려는 시도로 비쳐져 위기를 증폭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더 심각한 것은 주최 측의 공식 사과나 명확한 입장 발표가 없었다는 점이다. 논란 이후에도 W 코리아는 '답변 불가' 입장만을 내놓으며 침묵으로 일관했다. 이 침묵은 위기 관리 전문가 관점에서 초기 책임 인정 및 사과(Apology & Remediation) 원칙을 위반한 심각한 실책이다.
이해관계자 반응
W 코리아가 침묵하는 동안, 비난의 일차적인 표적은 공연자에게 집중되었다. 박재범은 개인적으로 "암환자 분 중 제 공연을 보고 불쾌했다면 죄송하다"며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주최 측인 W 코리아는 논란의 본질에 대한 언급을 피하고 책임 회피를 시도했다. 이로 인해 "부상에도 무페이로 공연을 준비한 것이니 좋은 마음을 악용하지 말아달라"는 지적이 나오는 등, 주최 측의 무책임한 처사로 인해 선의로 참여한 연예인들에게 불똥이 튀는 무책임한 상황이 발생했다.
환우 단체 및 대중의 반응은 더욱 근본적이었다. 그들은 행사의 진정성 자체를 비판하며 "차라리 행사 비용을 기부해라", "누굴 위한 자선파티인지 모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주최 측이 과거 공식 게시물 제목을 "W 코리아 유방암 파티 현장속으로"라고 명명한 것에 대해서도, 캠페인의 취지에 대한 무감각함을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일자 (추정) | 주요 사건 | W 코리아 대응 | 대중 및 이해관계자 반응 |
10월 15일 | 'Love Your W 2025' 행사 개최 (포시즌스 호텔) | - | - |
10월 16일 (초기) |
공식 SNS에 박재범 공연 영상 게시 | 게시 20분 만에 영상 설명 없이 삭제 | 선정성 및 행사 취지 불일치 지적 |
10월 16일 (이후) |
박재범의 개인 사과문 발표 | 공식 사과/입장 발표 없음 ('답변 불가') | 주최 측 책임 회피 비판 증폭 |
지속적 | 언론 및 커뮤니티의 비판 확산 | 'Breast Cancer Party' 게시물 등 삭제 | 행사 형식의 근본적 문제 제기 및 '톤-데프' 비판 |
W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더블유 코리아 (W Korea)
하이 패션 화보, 뷰티 트렌드, 라이프 스타일, 스타 영상까지. 스타일리시하고 트렌디한 콘텐츠 제공
www.wkorea.com
W코리아 공식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wkorea/
W코리아 공식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korea/videos
W KOREA
No.1 Conceptual Trend Magazine, W KOREA
www.youtube.com
참석 연예인들을 대충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hqJZ58zQrg&t=18s
과거의 행사 진행 방식은 어땠을까요?
'Love Your W' 캠페인은 논란이 된 2025년 행사를 포함하여 그동안 일관되게 유사한 형식으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실제로 이번 논란의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는 수년간 지속된 이 행사 방식에 대한 대중의 누적된 비판이 표면화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과거 W코리아 유방암 인식 향상 캠페인이 진행된 방식과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패션과 자선'을 결합한 초호화 파티 형식
W코리아의 'Love Your W' 행사는 2005년 시작된 이래 전통적으로 패션(Fashion)과 자선(Charity)을 결합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형식: 매년 갈라 디너(Gala Dinner)와 파티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행사장이 럭셔리한 분위기 속에서 주류(술)를 마시며 춤을 추고 담소를 나누는 사교의 장이 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럭셔리 브랜드 후원: 샤넬, 루이 비통, 구찌, 프라다 등 수십 개의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들이 행사에 대거 참여해왔으며, 참가 셀러브리티들 역시 이들 브랜드의 앰버서더로서 화려한 의상(파티룩)을 선보였습니다.
2. 셀러브리티 중심의 홍보와 비판의 누적
이 캠페인의 가장 큰 특징은 국내 최정상급 유명 연예인 및 모델들의 대거 참석입니다. 배우 고현정, 이영애, 박보영, 차은우 등 수많은 셀러브리티들이 캠페인 취지에 공감하여 무보수로 참여해왔습니다.
홍보의 집중: 주최 측은 주로 참석한 연예인들의 사진과 영상, 그리고 그들이 착용한 럭셔리 브랜드의 패션에 초점을 맞추어 홍보해왔습니다.
과거부터의 논란: 이러한 운영 방식은 꾸준히 "연예인들의 친목 모임", "유방암 인식 향상 행사가 아닌 초호화 술 파티"라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대중들은 "유방암 환우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메시지 없이 연예인과 기업인의 참석만 부각된다"는 점을 지적했으며 , 일부 누리꾼은 환우의 고통을 간과한 파티 분위기 때문에 "누굴 위한 자선파티인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처럼 W코리아의 유방암 캠페인은 2005년 시작 이후부터 '럭셔리 파티' 형식과 '자선'이라는 취지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논란의 소지를 내포하고 있었으며, 2025년 행사는 이러한 누적된 비판이 박재범의 공연 이슈를 계기로 폭발적으로 터져 나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과거 W코리아의 공식 게시물 제목이 "W 코리아 유방암 파티 현장속으로"라고 명명되었던 점도 주최 측 스스로 행사를 '파티'로 인식했음을 보여주며 비판의 근거가 되었습니다
추가 기부금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이 많이 됐습니다.
구성 요소 | 설명 | 보고 기간 | 대략적인 금액 (원) | 데이터 현황 |
초기 언론 보도 기반 | KBCF에 기록된 W 코리아 직접 전달액만 포함. | 약 17년 | 3.15억 | 불완전 (TDC 및 NHC 누락) |
기업 및 개인 직접 기부금 (TDC) | 참여 기업/개인이 KBCF에 직접 기부한 금액. | 2006–2025 (2007–2009 제외) | 11억 총액에 포함 | 초기 보고서에서 누락 |
비 KBCF 역사적 기부금 (NHC) | 인구보건복지협회에 기부된 금액. | 3년 (2007–2009) | 11억 총액에 포함 | 초기 보고서에서 누락 |
소계 (2006–2024) | WKC + TDC + NHC 합산 (19년). | 19년 | 9.6억 | W 코리아 확인 데이터 |
2025년 기부금 | 20주년 행사를 통해 모금된 금액. | 1년 | 1.5억 | W 코리아 확인 데이터 |
검증된 누적 총액 | W 코리아의 전체 해명에 기반한 누적 총액. | 20년 (2006–2025) | 11.1억 (11억으로 공표) | 조정된 총액 |